Oracle SQL (5) 썸네일형 리스트형 Oracle 간단 정리 SQL 1. query - select문 (조회) 2. dml - insert, delete, update, merge 3. tcl(트랜잭션) - commit, rollback ==> 여러 작업을 하나의 작업처럼 처리하기 위해서 묶음을 의미 4. ddl(data definition language) => 객체 생성, rollback 불가(자동 커밋) *table 생성 create table 테이블명( 컬렴명1 데이터타입, [제약조건 | default 값] 컬럼명2 데이터타입 [constaint 제약조건명] 제약조건 타입, *****테이블 생성시 제약조건 타입(제약조건 명이 아니다)**** 1. 5가지 제약조건 타입 외우기 -primary key -unique -check -foreign key ==> 위.. Oracle) Sub query & Transaction *서브 쿼리(sub query) => 한번의 select문으로는 원하는 data 조회가 불가능해서 여러번의 select 문이 필요. 문법 select 컬럼명 from 테이블 명 where 컬럼명 연산자 (select from...); 위 where 문에서 연산자는 단일행, 다중행 연산자가 있다. 1. 단일행 연산다 : =, >, >=, any => 서브쿼리->메인쿼리 순으로 동작한다. 서브쿼리가 from 절에 있을때는 인라인 뷰라고 하는데, 성능 때문에 사용한다. all => >all (서브쿼리): 서브쿼리의 실행결과를 메인쿼리가 모두 만족 ㅡ> 서브쿼리의 결과값 중에서 최대값보다 큰 값 조회. 서브쿼리의 결과값 중에서 최솟값보다 작은 값 조회 any => >any: 최소값보다 큰 값 조회 select .. Oracle JOIN **조인(join) 개념: 필요한 데이터가 여러 테이블에 존재하는 경우 테이블을 연결(조인)하는것. 셀렉션: 레코드를 조회 프로젝션: 컬럼을 조회 조인: 여러 테이블을 조합하여 조회 종류: 오라클조인, ansi 조인 오라클 조인 1) pk와 fk 일치된 경우의 조인: equi 조인 (동등연산) 2)범위 조인: non-equi 조인 (and between 등등..) 3)자신 조인: self 조인 4) outer 조인: inner 조인 + 누락된 값 오라클 조인: where 절에 조인 조건 및 검색 조건을 같이 지정한다. 1)equi 조인: =(동등) 이용한 조인( 값이 반드시 일치), 주로 pk와 fk를 사용한다. (내부적으로 결국 inner 조인이다) 2)non-equi 조인: 부등 연산자(>, Oracle SELECT column은 SELECT로 찾는다. show user; -- 왼쪽 접속 카테고리에서 테이블에서 디파트먼츠, 임플로이를 가장 많이 쓴다. SELECT * FROM tab; -- 계정의 테이블(객채) 정보 보기 --계정의 테이블 정보 보기 SELECT * FROM user_tables; SELECT * FROM user_indexes; SELECT * FROM user_views; SELECT * FROM user_sequences; SELECT * FROM user_synonyms; DESC employees; --모든 컬럼 보기 SELECT * FROM employees; select * from employees; SELECT employee_id, last_name, hire_date, salary.. Oracle SQL 시작 hr 계정 생성 및 권한 부여. 수업 순서 hr 계정에 문법 정리, wrokshop 계정에 테스트 행: 레코드(record) 열: 컬럼(column) DB의 무결성을 보장받기 위해 제약조건이 있다. 1. primary key(기본키) : 레코드를 식별하기 위한 용도, 반드시 유일한 값이여야 하며, 반드시 값을 가져야한다. -==> unique 및 not null 제약조건이 같이 있음. 2. unique: 컬럼에 유일한 값을 저장하기 위한 용도 ==> 반드시 유일한 값, null 값 허옹 3. not null: 컬럼에 반드시 값을 저장해야 하는 용도, null 값 허용 안함, 4. check: 컬럼에 임의의 조건에 일치하는 데이터만 저장하기 위한 용도 ==> 자바의 조건처리와 비슷한 제약조건. 5.fore.. 이전 1 다음